Imagine that humans in the future will abandon the Earth and run away to the digital world instead of farming potatoes on Mars. Does the 'body' exist in their lives, which will no longer be physical or material? If it exists, it is likely to pursue human appearance based on familiarity. Then, what happens to bones and organs that are not seen outside the body? Will they also try to capture traces of bones and organs in their new bodies? What will bones and organs mean for digital objects with reason?
What is clear is that bones and organs would no longer have to act as components to sustain their bodies. Then, wouldn't it be possible to sit in a display case and evaluate the aesthetic value, just like relics in the past that no longer needed to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s? If things that didn't have to be beautiful look relaxed in front of you, can they not flow to aesthetic objects?
The future has been glorified as a "content" in which a piece of screw that had to be embedded without rust falls out of the machine called the body and recalls the biological body. Heart pounding, languid muscles, bumping bones, and wriggling stomach will be retro products that stimulate nostalgia as an organism.
assumes future members of society who have moved to a body of non-organic, non-physical, and non-material concepts, and imagines them consuming bones and organs that were part of the organism's body as content.
- <아름다운 나사>에 관한 노트.
미래의 인류가 지구를 버리고 화성에서 감자 농사를 짓는 대신 디지털 세계로 도망간다고 상상해보자. 더는 물리적이지도, 물질적이지도 않을 그들의 삶에도 ‘몸’은 존재할까? 만약 존재한다면 익숙함에 근거해 인간적인 외형을 쫓을 것 같다. 그렇다면 몸 밖으로 보이지 않는 뼈와 장기는 어떻게 되는 걸까. ‘그들’은 뼈와 장기의 흔적도 자신의 새로운 몸에 주워 담으려고 할까? 이성을 가진 디지털상의 개체에게 뼈와 장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게 될까?
분명한 것은 뼈와 장기가 그들의 신체를 지속시킬 부품으로써 작동할 필요가 더 이상 없어졌을거라는 점이다. 그러면 더 이상 원래의 기능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진 과거의 유물들이 그렇듯, 진열장 안에 들어앉아 미적 가치를 평가받지는 않을까. 아름다울 필요가 없던 것들이 눈앞에서 여유롭게 보인다면, 그것들은 심미적인 대상으로 흘러가지 않을 수 있을까.
녹슬지 않고 잘 박혀 있어야 했던 나사 조각이 몸이라는 기계 바깥으로 떨어져나와 생물학적 몸을 추억하는 ‘콘텐츠’로 미화된 미래. 두근거리는 심장, 나른한 근육, 부딪히는 뼈, 꿈틀거리는 위장은 유기체로서의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Retro) 상품이 되지 않을까.
<아름다운 나사>는 비유기적-비물리적-비물질적인 개념의 몸으로 이동한 미래 사회 구성원을 상정하고, 그들이 유기체 신체의 일부였던 뼈와 장기를 콘텐츠로 소비하는 모습을 상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