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 2025. Jiiho All rights reserved.





Sunny Lumen

2025. 04. 13 - 2025. 05. 04. 
IMF Seoul (Seoul, KR)

Double Exhibition 




 











































































































































































《 Sunny Lumen 》         

   

I'd like to begin with a personal memory. One day, I was put under general anesthesia for a ten-hour surgery. Lying on a cold surgical bed, I shifted unnaturally to get into position. Needles and rubber tubing were stuck in my arms, and a large, round surgical light was glaring above me. The light was both cold and warm in that blinding moment. Another memory surfaces—coming home early from school as a child, finding the house empty, and watching the sunlight pour in through the living room window.  The golden, warmth light hit the floor and filled the empty space. I remember lying on the living room floor and basking in the sun.

Sunny Lumen, a two-person exhibition by Kim Hanwool and Jiiho, invites viewers into unfamiliar sensations of the body’s internal landscape. Can we truly say that we can see our bodies? The surface—skin, face, body—is what we encounter in the mirror, yet it remains only the shell. The inside of the body, on the other hand, cannot be seen without technical devices(mediation), such as endoscopes, CT scans, and ultrasounds. These convert the body’s interior into high-resolution images and data, which are then displayed in front of our eyes. However, the images are never familiar, appearing as unfamiliar schematics and extracted data. The body, once understood as a site of internality, becomes estranged.

The exhibition begins with this very dissonance—distance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 In different ways, Kim and Jiiho evoke this sense of tension between interiority and observation, and extend it to different layers of time, data, memory, and other boundaries. Through the technological visualization of both the body and the exhibition space’s interior, the show invites reflection on how we position and perceive ourselves within unseen worlds. The notion of “interiority” emerges through the act of viewing.

IMF Seoul, the exhibition's venue, is a converted building apartment located in Dobong-gu, Seoul. Rather than a mere physical space, it functions as the centerpiece of the exhibition. Originally Built in 1988, the space, which bears the marks of 1997 and beyond, hides 26 years of time in its worn wallpaper and flooring, old furniture, and the dust-laden old phones and switches. Visitors can only enter the space by appointment, passing through a communal entrance hall where real residents come and go, and punching in a numbered code. From that moment of entry—stepping into someone else's home—the exhibition situates the viewer in a private, intimate space.

This entry process recalls the structure of a medical checkup: a passage inward rather than an external scan, always mediated by appointments, fasting, and cold instruments entering the body. Here too, invites the viewer to enter a sealed interior of the space itself, just as they enter the interior of their own body, as a condition of observation and a structure of the gaze. In other words, the sensation felt in this space is different from entering to 'see' something, but more of a 'sensory experience of breaking through the boundaries and penetrating the interior'.



Jiiho, on the other hand, confronts unfamiliar and sensitive sensations through techniques and gazes that sensually reconstruct the interior of the body. Rooted in her childhood experience of researching a family illness online, her early exposure to digital images of diseased and injured organs—bodies she had never seen in person—provoked a series of acute, hypersensitive sensations that led to a strange and unsettling awareness of her own body. In Babies (2024), Jiiho senses her own body in a fictionalized state of pregnancy, imagining the bones and organs she encounters after giving birth. The collection of organs and bones, reminiscent of the objects in Vanitas's still life paintings, becomes a landscape that confronts and otherizes the internal beings of the body.

Jiiho also imagines and draws front, back, side, top, and bottom views on the surface of a hexahedron like a production drawing based solely on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medical device shopping mall. Just as attempts to mechanically visualize disease and aging are accompanied by errors, the artist's mechanical computations of medical devices are accompanied by errors of awkward reproduction. Just as the artist imagines the invisible interior of the body by weaving together data from various medical imaging devices, this process becomes a metaphorical practice of reconstructing any body through fragments of image data. Furthermore, the artist's drawings and object works in mobile filing cabinets demonstrate more explicit sensory heterogeneity. Ji envisions replacing the human body with a doughnut-shaped planet, in reference to topological geometry. Here, Pelvis fragments form Jupiter(2022) is summoned to the exhibition as an unfamiliar clue that fragments of this planet have been flung before our eyes. This paradoxical act of perceiving the inside of one's own body as pixels of data and polygonal information, like a distant planet in space, connects to the artist's approach to disease, slow aging, and the invisibility of the body's interior.

We see through light. The exhibition’s title Sunny Lumen is derived from the medical term “lumen”. A lumen is a hollow passage through the body, the interior where light enters, but also the space where the technological gaze enters. “Sunny” evokes warmth, direction, and atmosphere—the microclimates of observation. The exhibition explores how sensation—temperature, distance, timing—is co-produced by acts of seeing and being seen.

The harsh lights of an operating room, the afternoon sun streaming across an empty living room. These lights differ, yet both frame a body within structures of external gaze. Wary of reading this exhibition as a work that only shows images of the body's interior, consciously resists being reduced to a mere display of anatomical images.*  To “see the inside” is not a neutral or passive gesture, but a highly conditioned, sensory act—one that reveals the limits of perception itself. And just beyond this structured gaze lies the viewer, groping through their own private memory, tracing sensations that cannot be fully visualized.


* Jonathan Crary, Techniques of the Observer: On Vision and Moder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MIT Press, 1990, pp.1-163.



Text by | Jihee Yun (Independent Curator)







《 Sunny Lumen 》         

                                               

글의 시작은 필자의 개인적인 이야기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언젠가 10시간에 걸려 진행되는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한 경험이 있다. 차가운 수술용 베드 위에 누워, 어기적 부자연스럽게 몸을 움직여 자리를 잡았다. 두 팔에는 바늘과 고무관이 꽂혀 있고, 내 시야에는 둥글고 커다란 수술 등이 켜져 있었다. 눈이 너무 부시었던 그 순간의 빛은 차갑고 따뜻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기억을 나누자면, 어릴 적 모처럼 학교가 일찍 마쳐 집에 돌아온 날 아무도 없는 집에서 거실 창을 통해 들어선 햇살을 바라본 적이 있다. 노랗고 따뜻한 빛이 바닥을 스치고, 텅 빈 공간을 채웠다. 거실 바닥에 그대로 누워 햇살 아래로 몸을 지폈던 순간이 스친다.

김한울, 지이호의 2인전 《 Sunny Lumen 》은 신체의 내면적 풍경을 친숙하지 않은 감각으로 초대한다. 우리는 과연 나의 신체를 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매일 거울을 보며 얼굴의 피부, 몸의 외형을 확인하는 것은 껍데기로서의 신체를 훑는 것에 불과하다. 이처럼 신체 내부는 언제나 외부의 장치 없이 볼 수 없다. 내시경, CT, 초음파와 같은 기술적 장치는 몸 안쪽을 고해상도의 이미지와 데이터로 전환시켜 눈앞에 펼쳐 놓는다. 그러나 그 이미지들은 결코 친숙하지 않은, 낯선 도식이자 추출된 데이터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나의 '내부'로 기능했던 신체가 낯설게 다가오게 된다.

전시는 바로 이 익숙한 감각과 단절되고 낯선 거리감에서 시작한다. 김한울과 지이호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내부와 관찰 사이의 긴장의 감각을 불러오고, 이를 다양한 층위의 시간, 데이터, 기억 등의 경계로 확장하여 다룬다. 전시는 기술적으로 시각화된 신체와 전시공간의 내부를 통해 우리가 우리 자신과 비가시화된 세계를 어떻게 감각하고 위치 시키는지를 탐색하며, '내부'의 개념을 관람 행위 자체에 걸쳐 보여주고 있다.

전시가 진행되는 IMF Seoul은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구축 아파트를 개조한 전시공간이다. 위 장소는 단순한 물리적인 공간이기보다, 전시의 축이 되는 장치로써 기능한다. 1988년에 건축되어, 1997년 이후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공간은, 닳은 벽지와 바닥, 오래된 가구와 수화기가 켜켜이 쌓인 먼지 속에서 26년의 시간을 잠재웠다. 관람객은 사전예약을 통해서만 공간에 입장할 수 있으며, 실제 주민이 오가는 공동현관을 지나 번호키를 직접 누르고 출입한다. 누군가의 집을 들어서는 순간에서, 나아가 전시를 보기 위해 예약하고 번호 키를 문자로 부여받기까지, 전시공간은 아주 사적이고 내밀한 영역으로 관람자를 초대한다.

이러한 진입 구조는 마치 건강검진의 통로를 연상시킨다. 건강검진은 신체의 외부가 아닌 내부를 보기 위한 과정으로, 이는 언제나 시간 예약을 통해 예정된 금식과 조건을 거쳐 차가운 금속이 몸의 내부로 진입하길 허용한다. 전시장의 구조는 관람자가 자신의 신체 내부로 진입하듯, 개인의 밀폐된 내부로 향하도록 유도하여 공간 자체가 관찰의 조건이자 시선의 구조로 작동하게 만든다. 다시 말해, 이 공간에서 느껴지는 감각은 무언가를 '보기 위해' 들어가는 것과 다른, '경계를 뚫고 진입하여 내부를 관통하는 감각적인 경험'에 가깝다.

...

반면 지이호는 신체 내부를 감각적으로 재구성하는 기술과 시선을 통해 낯설고 예민한 감각들을 마주한다. 작가는 어린 시절 가족의 병환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접한 경험에서 출발한다. 실제로 목격하지 못한 신체의 손상과 질병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상상된 신체 내부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경험은 일련의 예민한 감각과 연결되어 '나'의 몸을 낯설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기들>(2025)에서 작가는 자신의 몸을 가상의 임신 상태로 감각하여, 뼈와 장기를 출산한 뒤 마주하는 상황을 상상해낸다. 마치 바니타스 정물화의 오브제를 상기시키는 장기와 뼈의 집합은 신체의 내부의 존재들을 오히려 마주시켜 타자화하는 풍경이 된다.

작가는 또한 의료기기 쇼핑몰에서 수집한 이미지 정보만을 바탕으로 육면체 표면에 앞뒤, 양옆, 위아래의 모습을 제작 도면처럼 상상하여 그린다. 질병과 노화를 기계적으로 시각화하려는 시도가 오차를 동반하듯이, 작가의 기계적인 연산으로 구현된 의료기기는 그 외형조차 어색한 재현의 오류를 동반한다. 각종 의료 촬영 기기의 데이터를 엮어내어 비가시적인 신체 내부를 상상하듯, 이 과정은 이미지 데이터의 파편을 통해 어떠한 몸을 재구성 해내는 은유적인 실천이 된다. 나아가 작가는 이동형 서류함에 담긴 드로잉과 오브제 작업을 통해 더 노골적인 감각의 이질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지이호는 위상기하학에 빗대어 인간의 몸을 도넛형의 행성으로 치환하는 작업을 구상 중이다. 여기서 <목성의 골반뼈 부스러기>(2022)는 이 행성의 파편이 우리의 눈앞에 날아든 낯선 단서로서 전시장에 소환된다. 머나먼 우주의 행성처럼 자신의 신체 내부를 데이터의 픽셀, 폴리곤 구조의 정보로 감각하는 이 역설적인 행태는 작가가 질병, 저속노화, 비가시화된 신체 내부로 접근하는 방식과 연결된다.


빛을 통해 두 눈으로 대상을 볼 수 있다. 전시명 《 Sunny Lumen 》은 의학 용어 ‘루멘(lumen)’에서 착안하였다. 루멘은 몸속을 흐르는 빈 통로, 빛이 닿는 내부이자 동시에 기술적 시선이 진입하는 공간이다. 전시는 ‘Sunny’라는 수식어와 그 내부에 깃드는 감각의 기류, 즉 관찰이 이루어지는 순간의 온도, 방향, 거리를 환기하고자 한다.


수술실의 강렬한 조명과, 텅 빈 거실을 가로지르던 햇살. 이 두 기억은 서로 다른 빛의 감각이지만, 그 아래 놓인 신체는 모두 외부의 시선과 감각의 구조 속에서 구성되고 있다. 이 전시가 단지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작업으로 한정되어 읽히는 것에 경계하며, 필자는 개인적인 기억에서부터 글을 시작하였다. 결국 전시는 무엇을 '본다'라고 간주하는 감각의 기준, 그리고 보는 행위 자체가 이미 특정한 구조와 제약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내부를 본다’는 것은 단순한 인식이 아니라, 무엇이 관찰 가능하고 어떻게 시각화되어야 하는지를 결정짓는 조건들, 즉 시각성(visuality)의 구조 속에서 구성된 감각적 행위임을 드러낸다.*  우리가 “신체 내부를 본다”고 말할 때, 그 '보기'는 언제나 기술적 장치와 관찰 조건 속에서 정의되고 제한된다. 그리고 그 시각의 외곽에서, 관람자 스스로 감각의 기억을 더듬게 하는 내밀한 요체도 또한 함께 놓여 있다.


*Jonathan Crary, Techniques of the Observer: On Vision and Moder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MIT Press, 1990, pp.1-163.


글 | 윤지희 (독립큐레이터)